위로 가기 버튼

Chapter 02.

한국기계연구소 대덕선박분소로 재편

정부는 1980년 10월 과학기술처의 ‘이공계 출연 연구기관 기능 재조정계획’을 근거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화를 위해
정부출연 연구소들의 통폐합을 추진했다. 그 과정에서 한국선박연구소도 1981년 1월을 기해 한국기계연구소 대덕선박분소로
재편됐다. 분소 체제로 개편되면서 조직과 인력은 축소되었지만, 그런 상황 속에서도 선용품시험동에 이어 구조시스템연구동,
용접연구동 등을 계속해 준공하고, 전자빔 용접장치 등 첨단설비를 구축하는 등 연구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충해나갔다. 또한 이를
토대로 선박설계 및 생산기술 고도화를 꾀하는 한편 새로 설치한 해양공학실을 중심으로 해양공학 관련 연구에도 박차를 가했다.

제1절

대덕선박분소로의 재편과
미래 연구기반 확충

1980년 5월, ‘사회 전반의 개혁’을 내세운 정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화를 명분으로 출연 연구기관들의 통폐합을 추진했다. 당시 연구소 통폐합의 근거는 1980년 10월 과학기술처가 마련한 ‘이공계 출연 연구기관 기능 재조정 계획’이었다. 그 과정에서 선박연구소도 기계금속시험 연구소와 통합, 한국기계연구소 대덕선박분소로 축소 재편됐다. 1981년 1월 5일 대덕선박분소로 재편된 이후 연구소 조직은 기존의 소장, 설계 담당, 기술 지원담당의 2부소장 체제에서 분소장 산하 선박기술부와 선박연구부의 2부와 연구개발실, 수조운용실의 2실로 규모가 축소됐다.

대덕선박분소 시기의 연구소는 조직 축소와 인력 감축이라는 한계 속에서도 조선기술 선진화를 위한 첨단 연구시설들을 다수 확충했다. 1979년 9월 캐비테이션터널 건물을 준공하고, 1982년 7월 캐비테이션터널을 완공했다. 이후 터널 본체의 시운전과 더불어 프로펠러의 캐비테이션 성능시험을 실행함으로써 프로펠러 성능 관련 연구를 본격화했고, 종전까지 네덜란드, 노르웨이, 일본 등에 의뢰하여 수행 해왔던 프로펠러 성능시험을 국내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연구소는 1985년 8월 선박 엔진시험을 확대하고자 제2엔진시험동을 준공해 가동했으며, 1987년 7월에는 구조 안전성 평가 및 강도·진동연구를 위한 구조시스템연구동을 완공, 1988년 5월에는 용접기술자 교육과 레이저 용접실험을 진행할 용접연구동을 준공했다.

선형시험수조 건설현장
대덕선박분소 현판식 (출처:국가기록원)
캐비테이션터널 준공식
캐비테이션터널 준공식

제2절

연구의 다각화 및
고도화

1980년대를 지나면서 국내 조선산업은 부흥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조선기술적인 측면에서 선박 기본설계기술의 높은 대외의존도와 기자재공업의 취약한 기반, 조선소 관리기술의 미숙, 조선 선진국 대비 낮은 생산성 등 미완의 과제가 산적해 있었다. 이에 연구소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과 핵심 요소기술 개발, 경제선형 및 고부가가치 선박의 개발, 조선기자재 국산화기술과 성능시험 평가기술 개발에 주력함으로써 조선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꾀함과 동시에 세계 조선시장의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첨단과학기술과의 융합연구개발에 관심을 기울이는 한편 초고속 선박 개발이나 선박 자동 운항기술 개발도 추진했다.

연구소의 선박설계 자동화 연구는 관련기술 향상을 위한 정부의 의지가 강력히 반영된 198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 됐다. 1985년 12월, 국내 최초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선상조종 시뮬레이터 개발을 시도해 성공시켰다. 이와 함께 국내 해운업계의 정비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선박정비관리 전산시스템도 개발했다.

1980년대 들어와 해양자원 개발이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 부상하면서 해양자원을 둘러 싼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에 우리나라도 해저시추 관련기술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그 과정에서 연구소의 해양공학 분야의 비중이 확대 됐다. 연구소는 이 같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해 1985년 8월 해양공학실을 신설하고, 1983년부터 추진해온 해저탐사용 유인잠수정 개발을 비롯한 해양구조물 및 위치확보시스템기술 개발 등에 나섰다. 특히, 1986년 12월 연구소가 국내 최초로 개발한 해저탐사용 유인잠수정 ‘해양250’은 정밀한 해저탐사시대를 여는 우리나라 해양개발사의 중요한 변곡점을 제공했다.

250M급 유인잠수정
250M급 유인잠수정
선상조종 시뮬레이터 개발 성공
선상조종 시뮬레이터 개발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