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해양산업시설 장기영향평가를 위한 해양예측모델 구축 및 배출 HNS의 단기 확산예측 평가Establishment of ocean prediction model for long-term impact assessment in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nd evaluation of short-term spread prediction of discharge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HNS

Other Titles
Establishment of ocean prediction model for long-term impact assessment in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nd evaluation of short-term spread prediction of discharge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HNS
Authors
송승헌오병철김선호이문진김태성
Issue Date
11월-2022
Publisher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Keywords
해양산업시설; 위험유해물질; 방류량 추정; 확산 수치모델링; 단기영향평가;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Estimate of discharge; Diffusion Numerical Modeling; Short-term impact assessment
Citati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25, no.4, pp 208 - 216
Pages
9
Journal Titl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ume
25
Number
4
Start Page
208
End Page
216
URI
https://www.kriso.re.kr/sciwatch/handle/2021.sw.kriso/9347
DOI
10.7846/JKOSMEE.2022.25.4.208
ISSN
2288-0089
Abstract
우리나라 연안에 위치한 해양 산업시설에서 배출하는 HNS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치모델링을 실시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산업시설이 위치한 상세역에 대해 유동장을 구축하였으며, 해역 내에 존재하는 HNS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채수를 실시하고 2-propanol이 여수 산단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배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지속적인 해역의 장기영향평가를 진행하기에 앞서 단기 영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방류구에서 발생하는 농도를 추정하였다. 2-propanol의 해역 실관측 최대값은 3.46mg/L로 반복실험을 통해 St.7에서 모의한 결과의 최대치가 수렴할 수 있도록 방류구의 위치와 제거율을 결정하였다. 관측값에서는 St.8 인근에서의 2-propanol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모의 결과에서는 지나치게 높게 산출되었다. 방류구에서의 농도가 현 상황에서는 조사가 불가능하여 배출시설에서의 직접적인 모니터링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므로, 추후 배출시설 인근 해역의 공간분포 자료와 방류구의 농도를 조사하여 단기 영향 평가에 대한 모델 검증을 추가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해양공공디지털연구본부 > 해사안전·환경연구센터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