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산업시설 배출 유해화학물질의 해양환경영향평가 방법론 연구A methodology study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of HNS discharged from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 Other Titles
- A methodology study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of HNS discharged from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 Authors
- 김태윤; 맹준호; 이문진; 여보현; 김태성
- Issue Date
- 11월-2022
- Publisher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 Keywords
- 해양산업시설; 위험·유해물질; 공간자료분석;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ulnerability map; Marine industrial facility;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GIS analysis; 환경영향평가; 취약성 지도
- Citation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25, no.4, pp 248 - 259
- Pages
- 12
- Journal Title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 Volume
- 25
- Number
- 4
- Start Page
- 248
- End Page
- 259
- URI
- https://www.kriso.re.kr/sciwatch/handle/2021.sw.kriso/9337
- DOI
- 10.7846/JKOSMEE.2022.25.4.248
- ISSN
- 2288-0089
- Abstract
- 해양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위험·유해물질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HNS)이 연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해양산업 클러스터 대상지이자 유해화학물질의 배출이 많은 광양만을 연구해역으로 선정하고 보호지역 분야와 사회·경제 분야로 구분하여 평가요인을 분석한 후 취약성 지도를 도출하였다. 보호지역 분야에서는 법정보호지역 중 세계유산 지역, 국제적 보호구역, 자연공원과 같이 보존이 우선시되는 지역과 환경보전해역, 특별관리해역 등과 같이 환경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구분하여 평가인자를 설정하고, 함수 생성 및 지수화를 통해 취약성 지도를 도출하였다. 사회?경제적 분야에서는 어업 분야, 양식 분야, 연안 관광 분야, 항만 분야, 기타 분야로 구분하여 평가인자를 적용하고, 계절별 및 공간역별(표층, 수중, 저층, 대기)로 시?공간적인 취약도를 도출하였다. 보호지역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항 내측에서 낮은 취약성을 보였으며, 국립공원이 위치한 동 측 및 남측해역에서 높은 취약성을 보였다. 사회·경제적 취약도의 경우, 여름철에는 높은 취약도, 겨울철에는 낮은 취약도를 보여 계절적인 변동이 발생하였다. 이는 해조류 서식지 및 양식장, 해수욕장과 낚시 포인트 지점, 연안어업, 레저활동 등에 의해 기인하며, 공간적으로는 광양만 동 측 해역, 남측해역 및 해수욕장이 위치한 연안 지역에서 높은 취약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HNS의 시공간적 분포 현황 및 추가적인 취약성 분석(종, 서식지 등)을 통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HNS 해양환경 영향평가의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해양공공디지털연구본부 > 해사안전·환경연구센터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