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초단파 대역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위한 CS-TDMA의 성능 분석 연구Performance Analysis of CS-TDMA for VHF Digital Data Exchange
- Other Titles
- Performance Analysis of CS-TDMA for VHF Digital Data Exchange
- Authors
- 윤창호; 김승근; 박종원; 조아라; 임용곤
- Issue Date
- 6월-2014
- Publisher
- 한국통신학회
- Keywords
- AIS; CS-TDMA; MAC; Network; VDES
- Citation
- 한국통신학회 하계학술발표회의, v.2014, no.1, pp 99 - 100
- Pages
- 2
- Journal Title
- 한국통신학회 하계학술발표회의
- Volume
- 2014
- Number
- 1
- Start Page
- 99
- End Page
- 100
- URI
- https://www.kriso.re.kr/sciwatch/handle/2021.sw.kriso/8225
- Abstract
- 오늘날 선박 항해 안전과 충돌 방지를 위해 할당된 AIS용 주파수 대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선박국-육상국, 선박국-선박국간 디지털 데이터 교환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ITU-R WP5B에서는 해상 이동업무용 VHF 대역 디지털 데이터 교환 기술에 대해 ITU-R M. 1842-1과 같이 권고하고 있다. 이 표준에서 채널 접속 방식으로 AIS class B의 CS-TDMA를 권고하고 있으나, 프레임 구조, 할당 시간 슬럿의 수 등 구체적인 내용은 현재 결정되지 않았다. 특히, 선박국들이 할당하는 시간 슬럿 수와 관련된 전송 주기는 AIS class B에서 단순히 선박의 속도에 의해 정의된 값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네트워크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S-TDMA를 적용한 해상 네트워크 모의시험을 통해 CS-TDMA의 수신 성공률을 분석하여, 해상 디지털 데이터 교환용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능 지표를 제시한다.에 대해 ITU-R M. 1842-1과 같이 권고하고 있다. 이 표준에서 채널 접속 방식으로 AIS class B의 CS-TDMA를 권고하고 있으나, 프레임 구조, 할당 시간 슬럿의 수 등 구체적인 내용은 현재 결정되지 않았다. 특히, 선박국들이 할당하는 시간 슬럿 수와 관련된 전송 주기는 AIS class B에서 단순히 선박의 속도에 의해 정의된 값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네트워크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S-TDMA를 적용한 해상 네트워크 모의시험을 통해 CS-TDMA의 수신 성공률을 분석하여, 해상 디지털 데이터 교환용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능 지표를 제시한다.
- Files in This Item
-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