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원격탐사 기법을 활용한 위험·유해물질 두께 추정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재진-
dc.contributor.author박경애-
dc.contributor.author김태성-
dc.contributor.authorLee, Moonjin-
dc.date.accessioned2022-10-24T03:40:24Z-
dc.date.available2022-10-24T03:40:24Z-
dc.date.issued20220819-
dc.identifier.urihttps://www.kriso.re.kr/sciwatch/handle/2021.sw.kriso/7680-
dc.description.abstract위험·유해물질(HNS)는 인간 및 해양생물에 유해하거나 환경을 손상시킴으로써 해양 이용을 저해하는 기름 이외의 물질을 의미하며, 석유화학공업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화학물질이 급증함에 따라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6,000여종의 HNS가 존재한다. 이 물질들은 인화성, 폭발성,유독성, 잔류성을 포함한 다양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가지므로 소량의 HNS가 해상에 유출될지라도 막대한 인명, 재산, 환경 피해를 발생시킨다. 예시로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이 강한 독성을 지닌 HNS는 인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며 해양 생태계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에게 악영향을 준다. 게다가 해상 HNS 사고는 강한 바람, 태풍, 폭우와 같은 악천후 조건에서 주로 발생하므로 유출된 HNS는 단시간에 넓은 지역으로 확산되어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해상 HNS사고 발생 이후 신속한 방제 및 정화를 위한 HNS 확산 면적 및 볼륨 파악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 HNS 유출사고를 가정하여 지상 초분광 유출 실험을 프랑스 현지에서 수행하였으며, 촬영한 영상을 대상으로 HNS 및 해수의 초분광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순수 HNS 엔드멤버 스펙트럼 및 점유비율로부터 초분광 영상에서의 HNS 및 해수를 분류하였으며, 이중 빔 간섭 모델을 통한 HNS 두께의 공간 분포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해상 HNS 방제전략 수립 및 해양생태계 유해 환경평가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c.title원격탐사 기법을 활용한 위험·유해물질 두께 추정-
dc.title.alternative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Techniques for Estimating the Thickness of Hazardous and Noxious-
dc.typeConference-
dc.citation.conferenceName제3회 한국지구과학연합회(KGU) 연례학술대회-
dc.citation.conferencePlace대한민국-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해양공공디지털연구본부 > 해사안전·환경연구센터 > Conference Paper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