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외해 구조물 배후의 표사이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An Experimental Study of Sediment Transport Patterns behind Offshore Structure

Other Titles
An Experimental Study of Sediment Transport Patterns behind Offshore Structure
Authors
신승호홍기용
Issue Date
2004
Publisher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Keywords
Offshore structure(외해 구조물); Beach deformation model(해빈변형모델); Movable bed experiment(이동상 실험); Fluorescent sand(형광사); Sediment transport pattern(표사이동 양상); Offshore structure(외해 구조물); Beach deformation model(해빈변형모델); Movable bed experiment(이동상 실험); Fluorescent sand(형광사); Sediment transport pattern(표사이동 양상)
Citati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7, no.4, pp 207 - 215
Pages
9
Journal Titl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ume
7
Number
4
Start Page
207
End Page
215
URI
https://www.kriso.re.kr/sciwatch/handle/2021.sw.kriso/1756
ISSN
2288-0089
2288-081X
Abstract
최근 육지역에서 새로운 넓은 용지의 확보가 어려워짐에 따라, 이를 해역에서 찾으려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 러한 개발은 개발이 예정된 주변 연안역에 광범위한 해빈변형문제를 야기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인공섬 등과 같은 외해 구조물을 계획할 경우에는 구조물 건설이 인접 해역의 해빈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적절히 예측할 필요 가 있다. 본 연구는 연안역의 침식을 포함한 해빈변형예측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3차원 이동상 실험을 수행하여 외해 구조물 배후의 표사이동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실험을 통하여, 외해 구조물 배후의 해빈변형에서 해안선측과 수심역의 해빈변형 기구가 상호 독립되어 있음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소상대를 포함하는 해안선측은 등심선에 대 한 파의 입사방향에 대응하는 표사이동이 탁월하며, 수심역에서는 파의 왕복운동에 의한 소류 및 부유사가 해빈류 에 지배되어 이동하고, 양자는 해빈에서 형성되는 부분 중복파와 연관된 특정 경계를 기준으로 서로 분리되어 이동 함을 규명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는 해빈변형모델의 개발에서 중요한 열쇠를 제공하리라 사료되며, 또한 기 개발된 모델의 검정자료로써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Seung ho photo

Shin, Seung ho
연구전략본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