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 경기만 해역 탁도 변동성에 대한 조석의 영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Kim, Su Ran | - |
dc.contributor.author | Kim, Tae sung | - |
dc.contributor.author | Park, Kyung Ae | - |
dc.contributor.author | Park, Jae Jin | - |
dc.contributor.author | Lee, Moonjin | - |
dc.date.accessioned | 2025-01-08T07:00:55Z | - |
dc.date.available | 2025-01-08T07:00:55Z | - |
dc.date.issued | 2024-04-12 | - |
dc.identifier.uri | https://www.kriso.re.kr/sciwatch/handle/2021.sw.kriso/10772 | - |
dc.description.abstract | 해수의 탁도는 수중의 부유 물질이나 생물에 의해 혼탁해지는 정도를 뜻한다. 황해는 얕은 수심과 강한 조류뿐 아니라 강에서 유래된 부유 퇴적물로 강한 시공간 변동성을 보인다. 탁도의 시간 변동성을 파악하고자 실측 자료로 고속 푸리에 변환, 조화 분해,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하였다. 탁도 시간 변동성 분석 결과 천문조인 M2, S2, K1, O1과 천해조인 M4, MS4에 해당하는 주기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위성 자료를 이용해 탁도의 공간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강 하구와 해안선 주변 해역보다 조석 사주와 외해에서더 크게 나타났다. 탁도의 변동 요인으로는 평상시 조석의 영향이 가장 지배적이었지만 태풍이나 폭우가 내릴 때는 풍속과 강수량의 영향이 증가하였다. 이 연구는 황해 연안 해역의 탁도 변동을 이해하고 광범위한 해역의 탁도 변화를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 |
dc.title | 황해 경기만 해역 탁도 변동성에 대한 조석의 영향 | - |
dc.type | Conference | - |
dc.citation.conferenceName | 2024년 한국지구과학회 춘계학술발표회 | - |
dc.citation.conferencePlace | 대한민국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34103)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1312번길 32042-866-3114
COPYRIGHT 2021 B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