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사고 데이터 기반 해역 그리드화 및 심각도 지표 도출 연구A Study on the Derivation of Sea Grid and Severity Indicators Based on Maritime Accident Data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Sea Grid and Severity Indicators Based on Maritime Accident Data
- Authors
- 김도희; 이상재; 조수현; 박세길; 배혜림
- Issue Date
- 2월-2024
- Publisher
- 한국전자거래학회
- Keywords
- Maritime Accident; KMST; Statistics Data; Severity; Grid; Safety Indicator; 해양사고; 재결서; 해양사고통계; KeyBERT; 심각도; 그리드; 안전지표
- Citation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29, no.1, pp 57 - 72
- Pages
- 16
- Journal Title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Volume
- 29
- Number
- 1
- Start Page
- 57
- End Page
- 72
- URI
- https://www.kriso.re.kr/sciwatch/handle/2021.sw.kriso/10596
- ISSN
- 2288-3908
2765-3846
- Abstract
- 우리나라는 해상 물동량 및 통항량이 증가하면서 해상교통 환경의 복잡도와 해양사고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해양사고는 다른 운송 수단에 비해 사고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상당한 손실을 초래하는 심각한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해양사고 기록은 해양사고의 심판에 붙일 경우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서를 통해 기록되고, 심판불필요처분에 대해서는 해양사고통계에 기록되며 공공데이터로 공개되어 있다. 해양사고를 줄이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해양사고의 주요 원인을 규명하고, 심각도를 정의 및 도출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이들 연구는 주로 심판재결서와 해양사고통계 중 하나의 데이터만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의 원인을 도출하고, 심각도를 산출하는 데 있어 중요한 두 가지 데이터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해양사고에 대한 다각적 고려를 위해 심각도 기준을 재정의하였으며, KeyBERT모델을 활용하여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해역별 그리드로 표현하여 사고의 심각도와 원인 키워드에 대해 시각화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추후 이를 해사 안전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안전지표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해양공공디지털연구본부 > 해사디지털서비스연구센터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