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명 :한국형 e-Navigation 사업
- 주관부처 :해양수산부
- 연구기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사업기간 :2016.03-2020.12
- 총사업비 :1,308억원(국비:1,118억/민자:190억)
한국형 e-Navigation 사업
해역상황인지, 선제적 해양안전 확보, 해상 교통 최적화, 해상 디지털 무선통신 등의 서비스 개발
한국형 e-Navigation 사업이 바다에서의 안전한 항해를 보장하고 새로운 해양 ICT 생태계를 일으키기 위한 SMART 프로젝트 입니다.
KRISO에서는 연안 항해 선박의 안전하고 편리한 운항을 지원하기 위해 해역상황인지, 선제적 해양안전 확보, 해상 교통 최적화, 해상 디지털 무선통신 등의 서비스를개발하였으며, 해양수산부에서 2020년부터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서비스 페이지(https://e-navigation.mof.go.kr)
01 SMART-Navigation 소개
국제해사기구(IMO)의 한국형 e-Navigation은 차세대 해상항법체계로서 선박과 육상에서 해상 관련 정보를 수집, 통합, 교환, 표현 및 분석하는 전자 시스템입니다. 운항 및 관련 서비스의 품질향상을 통해 해상에서의 안전과 보안을 증진하고 해양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e-Navigation의 목적입니다.
한국형 e-Navigation은 우리나라 해상 환경에 특화된 한국형 e-Navigation입니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한국형 e-Navigation 개념에 어선·;연안 소형선 대상 서비스 제공 등을 추가하여 우리나라 해상 환경에 최적화된 새로운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SMART-Navigation이란?
- SMART-Navigation은 한국형 e-Navigation 개발 프로젝트의 이름으로서 해역상황인지, 선제적 해양안전 확보, 해상 교통 최적화, 해상 디지털 무선통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S
Sea traffic coordination & optimization
해상교통최적화
-
M
Maritime domain awareness
해상상황인지
-
A
Active & proactive maritime safety management
선제적 해양안전확보
-
R
Remote Assistance
원격지원
-
T
maritime Telematics
해상 디지털 무선통신
한눈에 보는 한국형 e-Navigation
SMART-Navigation
- 국제해사기구(IMO) 한국형 e-Navigation 필수 서비스
- 우리나라 해상 교통에 특화된 서비스 (LTE-M, Non-SOLAS)
- Sea traffic coordination & optimization
- Maritime domain awareness
- Active & proactive maritime safety management
- Remote Assistance
- maritime Telematics
Departure(LTE-M) → Arrival
- 소형선박용 전자해도 서비스
- 해양안전정보제공서비스
-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서비스
- 도선사/예선 지원 서비스
-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최적 안전항로 지원 서비스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pubilc of KOREA
02 사업개요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 ID, 서비스, 대상선박, 통신수단
ID |
서비스 |
대상선박 |
통신수단 |
SV1 (NAMAS) |
사고 취약 선박 모니터링 지원 서비스 |
사고위험선박 |
LTE-Maritime |
SV2 (SBSMS) |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
국적선 중 여객선(연안/국제) 서비스 요청 선박 |
LTE-Maritime |
SV3 (SORPS) |
최적 안전항로 지원 서비스 |
국적선 중 여객선(연안/국제)서비스 요청 선박 |
LTE-Maritime |
SV4 (REDSS) |
소형 선박용 전자해도 서비스 |
국제 항해에 종사하지 않는 연안 선박 |
LTE-Maritime |
SV5-1 (PITAS) |
도선사/예선 지원 서비스 |
도선사 및 예선 |
사용망 |
SV5-2 (MESIS) |
해양 안전 정보 제공 서비스 |
서비스 요청 선박 |
LTE-Maritime |
한국형 e-Navigation 사업
- Maritime Service (MS)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규정한 포트폴리오로서 e-Navigation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특징적인 서비스를 명시함
한국형 e-Navigation 사업 - No., Identified Services, SMART
No. |
Identified Services |
SMART |
|
MS 1 |
VTS Information Service(IS) |
SV1/SV2/SV3 |
VTS 정보 서비스 |
MS 2 |
Navigational Assistance Service(NAS) |
항해지원 서비스 |
MS 3 |
Traffic Organization Service(TOS) |
통행편성 서비스 |
MS 4 |
Local Port Service |
지방항만 서비스 |
MS 5 |
Maritime Safety Information Service(MSI) |
SV5-2 |
해양안전정보 서비스 |
MS 6 |
Pilotage service |
SV5-1 |
도선 서비스 |
MS 7 |
Tug Service |
예선 서비스 |
MS 8 |
Vessel Shore Reporting |
|
선박연안보고 |
MS 9 |
Telemedical Assistance Service(TMAS) |
|
원격의료지원 서비스 |
MS 10 |
Maritime Assistnace Service(MAS) |
SV1/SV2 |
해사보조 서비스 |
MS 11 |
Nautical Chart Service |
SV4 |
해도 서비스 |
MS 12 |
Nautical Publications Service |
SV4/SV5-2 |
수로서지 서비스 |
MS 13 |
Ice Navigation Service |
|
빙해항해 서비스 |
MS 14 |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
SV5-2 |
해상기상정보 서비스 |
MS 15 |
Real-time Hydrographic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ervice |
실시간 수로 및 환경정보 서비스 |
MS 16 |
Search and Rescue Service |
SV1/SV2 |
수색구조 서비스 |
사업단 과제 조직 구성도
- e-Nav 포럼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사업단(사무국)(*관리/감독)
- 과제총괄위원회
- 주관연구기관 A(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주관연구기관 B(한국선급)
- 기술개발(제 1 핵심과제)의 결과가 시스템구축(제 2 핵심과제)으로 원활하게 연계되도록 제 1 핵심과제와 제 2 핵심과제는 동일한 연구기관에서 수행하도록 구성
03 사업소개 및 추진전략
사업목표
- IMO의 한국형 e-Navigation 도입에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서 해양안전 확보 및 관련 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을 선도함
- 핵심 기술 개발 및 해사 디지털 인프라 확충을 통한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체계 구축 및 국제 표준 선도 기술 개발
사업소개
SMART Service
-
S
Sea traffic coordination & optimization
-
M
Maritime domain awareness
-
A
Active & proactive Maritime safety management
-
R
Remote Assistance
-
T
Maritime Telematics
핵심과제
한국형 e-Navigation 사업 - No., Identified Services, SMART
제Ⅰ핵심과제 |
한국형 e-Nav. 서비스를 위한 핵심기술 연구개발 및 e-Nav. 운영시스템 구축 |
종합상황인식 및 대응기술 개발 |
WP1 |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 서비스(SV1) |
한국형 e-Nav 서비스 개발 |
WP2 |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SV2) |
WP3 |
최적안전항로 지원 서비스(SV3) |
WP4 |
소형선박용 전자해도 서비스(SV4) |
IMO e-Nav 필수 서비스 개발 |
WP5 |
도선사 및 예선지원 서비스 |
WP6 |
해양안전정보 제공서비스(SV5-2) |
e-Nav 운영시스템 구축 |
WP7 |
e-Nav 운영시스템 구축 |
제Ⅱ핵심과제 |
해사디지털 인프라 확충 |
WP8 |
초고속 해상무선통신(LTE-Maritime) 구축 |
WP9 |
디지털 해상무선통신 체계 구축 |
제Ⅲ핵심과제 |
국제표준 선도기술 연구개발 |
WP10 |
해사데이터 교환 표준 개발(S-10X) |
WP11 |
해사정보공유체계 개발 |
WP12 |
해상 무선통신(표준) 기술개발 |
WP13 |
선박항해설비 표준화 모드(S-Mode) |
추진전략
-
사용자중심
현장 사용자 요구 반영을 위한 환류체계
전략 01
현장 수요자 요구 반영을 위한 환류 체계
-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반영, 평가의 환류 절차 적용
- 관련산업 육성을 위한 법제도 마련 및 산업계 주도의 연구개발 추진체계 확립
-
상용화전략
PMO 수행을 통한 효율,성공적인 사업관리
전략 02
국제협력 강화를 통한 기술표준화 선도
- MOU체결국(한,덴,스)과 시범사업 공통추진
- 국제기술표준 제안 및 논의 주도
-
국제표준화
국제협력 강화를 위한 기술 표준화 선도
전략 03
해양 Legacy 시스템과의 조화로운 연계구축
- 기존 항만 운영체계, 해양안전 서비스의 To-Be 설계를 위한 ISP 수행
- 세부 과제의 다각도 분석을 통한 로드맵 수립
-
조화로운 연계
해양 Legacy 시스템과의 조화로운 연계구축
전략 04
PMO 수행을 통한 엄격하고 성공적인 사업관리
- 검증된 PMO에 의한 엄격한 통제와 Capacity Build-up
- 프로젝트 방법론과 자동화 도구 도입으로 정량적이고 효율적인 사업관리
-
엄격한 검증
Test-bed를 통한 엄격한 개발 검증 후 확산
전략 05
Test-bed를 통한 선행개발 검증 후 확산
- 위험요소 제거를 위한 단계적 구축 및 통합
- 시험 및 완성도/실효성 점검을 위한 Test-Bed 구축